티스토리 뷰
몇 년 전만 해도 ‘베트남에 국제학교?’라는 반응이 많았어요. 하지만 지금은 전혀 다른 상황입니다. 호치민과 하노이, 다낭 같은 주요 도시에는 다양한 국제학교들이 들어서고 있고, 그 수는 해마다 빠르게 늘고 있어요.
단순히 외국인을 위한 학교가 아니라, 베트남 현지 중산층 이상의 가족들 사이에서도 국제학교는 가장 선호되는 교육 옵션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경제 성장과 교육 수요의 만남
베트남 국제학교 시장이 성장하는 데에는 무엇보다 경제 발전이 가장 큰 요인입니다. 지난 10년 동안 제조업 중심으로 빠른 성장을 이룬 베트남은 중산층 이상의 인구도 크게 늘었습니다.
그와 함께 영어 중심 교육, 서구식 사고, 글로벌 대학 진학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국제학교 수요도 함께 증가했죠. 특히 현지 학부모들도 자발적으로 국제학교를 선택하고 있으며, 교육은 더 이상 외국인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또한, 2018년 이후 정부가 외국계 교육 기관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면서 해외 유명 교육 재단들의 진출이 빨라졌습니다.
어떤 커리큘럼이 운영될까?
- IB: 사고력과 탐구 중심. 대표학교: ISHCMC, BIS 등
- Cambridge A-Level: 영국식 시험 중심. BVIS, British International School 등
- 미국 커리큘럼: SAT, AP 등 대학 진학용. Lincoln, Concordia 등
이 외에도 한국 국제학교, 호주 커리큘럼 등도 일부 존재하며, 대부분 영어로 수업이 진행됩니다.
수업 분위기와 교사 구성
수업은 토론, 발표, 프로젝트 기반이 많고, 자유로운 분위기입니다. 교사는 주로 원어민이며 정식 교사 자격을 갖춘 경우가 많습니다. 단, 일부 학교는 교사 교체율이나 경력 면에서 차이가 나므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등록금 수준과 입학 조건
- 연간 등록금: 약 12,000,000~35,000,000원
- 입학: 영어 인터뷰, 학부모 상담, 진단 평가
IB 고등과정은 진입 난이도가 더 높고, 학교별로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한국 학부모들의 반응은?
최근 베트남 유학을 선택하는 한국 학부모가 늘고 있으며,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학비 대비 우수한 교육 환경
- 경쟁 강도가 한국보다 낮음
- IB 집중 과정이 잘 구성됨
단점으로는 학교 간 교육 질 차이, 학습 관리 시스템 부재 등이 꼽힙니다.
마무리하며
베트남은 지금 아시아 국제교육 시장의 실험실이라 할 만큼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는 나라입니다. 적절한 정보와 전략이 있다면, 베트남 국제학교는 충분히 도전해볼 만한 교육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